맨위로가기

상주 박씨

"오늘의AI위키"는 AI 기술로 일관성 있고 체계적인 최신 지식을 제공하는 혁신 플랫폼입니다.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상주 박씨는 신라 경명왕의 아들 박언창을 시조로 하는 한국의 성씨이다. 박언창은 사벌대군에 봉해졌으며, 상주를 식읍으로 받아 후사벌국을 창립했다. 상주는 경상북도 서쪽에 위치한 지명으로, 상주 박씨는 이 지역을 본관으로 한다. 주요 인물로는 고려 시대 박양유, 조선 시대 박안신, 박이창, 박이녕, 박세훈, 박세희, 박세후, 박증손, 박대붕, 박유명 등이 있으며, 경기도 용인, 연천, 화성, 세종, 충북 괴산, 증평, 청주, 전남 순천, 전북 익산 등에 집성촌이 형성되어 있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상주 박씨 - 박휘순
    박휘순은 2005년 KBS 공채 개그맨으로 데뷔하여 《개그콘서트》 등 코미디 프로그램과 영화, 드라마, 예능에서 활약하며 특유의 코믹한 캐릭터와 재치 있는 입담으로 인기를 얻은 대한민국의 희극 배우, 영화 배우, 뮤지컬 배우이다.
  • 상주 박씨 - 박광현 (배우)
    박광현은 1997년 SBS 톱탤런트 선발대회 금상 수상으로 데뷔한 대한민국의 배우로, 드라마, 뮤지컬 등 다양한 작품 활동과 KBS 연기대상 신인상 수상, 별밤지기 활동, 저작권 홍보대사, 겸임교수 및 전임강사 활동 등 다방면에서 활약했다.
상주 박씨 - [성씨/가문]에 관한 문서
기본 정보
한자 표기尙州朴氏 (상주박씨)
이칭상산 박씨 (商山朴氏)
관향경상북도 상주시
시조
시조박언창(朴彦昌)
원시조박혁거세(朴赫居世)
중시조박견(朴甄)
집성촌
집성촌경기도 화성시 서신면 상안리
전라남도 순천시 상사면 쌍지리
충청북도 청주시 옥산면 국사리
경기도 파주시 조리면 오산리
인물
주요 인물박견
박려
박안신
박이창
박이령
박세훈
박세희
박세후
박광우
박증손
박대붕
박충간
박치의
박치인
박유명
박일성
박중최
박건중
통계
년도2015년
인구33,154명

2. 시조

박언창신라 경명왕 박승영의 다섯째 아들로 사벌대군(沙伐大君)에 봉해지고 사벌주(沙伐州ㆍ지금의 상주)를 식읍으로 하사받은 후 본국과의 교통이 단절되자 후사벌국을 창립하여 시조가 되었다.

박언창의 10세손 사자금어대(賜紫金魚帒) 박견(朴甄)이 있으며, 12세손 박여는 고려 충렬왕 때 첨의찬성사(僉議贊成事)로 상산부원군(商山府院君)에 봉해졌다. 13세손 박문로(朴文老)는 판사재시사(判司宰寺事) 증(贈) 좌참찬(左參贊)에 이르렀다.

3. 본관

상주는 경상북도 서쪽에 있는 지역으로 상산(商山)이라고도 한다. 상산은 경상북도 서쪽에 있는 상주의 옛 지명으로, 본래 삼한시대(三韓時代) 진한(辰韓)의 영토였으나 185년(신라 벌휴왕 2, 고구려 고국천왕 7) 사벌국(沙伐國, 혹은 사불국)으로 독립했다가 신라 첨해왕 때 정벌되어 상주(上州)로 고쳐지고 군주(君主)를 두었다. 진흥왕이 상락군(上洛郡)으로 고치고 신문왕 때 다시 사벌주(沙伐州)로 고쳤다가 경덕왕 때 상주(尙州)로 고치는 등 많은 변천을 거쳤다. 고려 성종 때 귀덕군(歸德郡)이라 하여 영남도(嶺南道)에 속하게 하였다. 1012년(고려 현종 3) 다시 상주안무사(尙州安撫使)로 고쳐서 8목(牧)의 하나로 정하였다가 조선 개국 후 관찰사(觀察使)를 두었으며, 1895년(고종 32) 지방제도 개정으로 상주목이 상주군으로 개편되었다. 1910년 상주군(尙州郡)으로 개칭되어 함창군(咸昌郡) 일원이 편입되었다.

4. 분파

상주 박씨는 분파가 많은 편이다. 크게 총랑공파(摠郎公派)와 찬성공파(贊成公派)로 나뉜다. 총랑공파는 다시 박안의(朴安義)의 상암공파(商巖公派), 박안예(朴安禮)의 판서공파(判書公派), 박안지(朴安智)의 판서공파, 박안신(朴安信)의 정숙공파(貞肅公派), 박문유(朴文裕)의 판원사공파(判院事公派)로 분파되었다.

상암공파는 박사영(朴士英)의 참판공사영파(叅判公士英派), 박세훈(朴世勳)의 송촌공파(松村公派), 박세도(朴世道)의 습독공파(習讀公派), 박세희(朴世熹)의 문강공파(文剛公派), 박세후(朴世煦)의 인재공파(認齋公派), 박윤창(朴允昌)의 직제학공파(直提學公派), 박문창(朴文昌)의 서흥파(瑞興派)로 나뉜다. 박안예의 판서공파는 박증손(朴增孫)의 운곡공파(雲谷公派)로 분파되었고, 운곡공파는 다시 박대붕(朴大鵬)의 남포공파(南浦公派)로 분파되었다.

박안신의 정숙공파는 박이창(朴而昌)과 박이령(朴而齡)의 판서공파, 박사정(朴士精)의 생원공파(生員公派), 박사춘(朴士春)의 부사공파(府使公派), 박사선(朴士宣)의 감찰공파(監察公派)로 나뉜다.

찬성공파는 박지헌(朴之軒)과 박지영(朴之永)으로 분파되었고, 박지헌은 박형지(朴衡之)의 장령공파(掌令公派), 박배(朴培)의 율촌공파(栗村公派), 박윤무(朴允武)의 판윤공파(判尹公派), 박윤걸(朴允傑)의 주부공파(主簿公派), 박광보(朴光普)의 금서재공파(琴書齋公派), 박광우(朴光佑)의 필재공파(蓽齋公派)로 분파되었다.

4. 1. 분적된 성씨 본관

평택 박씨, 충주 박씨 등이 있다.

5. 주요 인물


  • 박언창: 상주 박씨의 시조. 신라 경명왕의 다섯째 아들로 사벌대군에 봉해지고 사벌주(지금의 상주)를 식읍으로 하사받았다. 이후 본국과의 교통이 단절되자 후사벌국을 창립하였다.
  • 박견(朴甄): 박언창의 10세손. 사자금어대(賜紫金魚帒)를 받았다.
  • 박려: 박언창의 12세손. 고려 충렬왕 때 첨의찬성사(僉議贊成事)를 지내고 상산부원군(商山府院君)에 봉해졌다.
  • 박문로(朴文老): 박언창의 13세손. 판사재시사(判司宰寺事)를 지내고 증(贈) 좌참찬(左參贊)에 이르렀다.
  • 박천: 총랑공파(摠郎公派) 파조.
  • 박안의: 상암공파(商巖公派) 파조.
  • 박사영: 참판공사영파(叅判公士英派) 파조.
  • 박세훈: 송촌공파(松村公派) 파조. 효성이 지극하여 '주동의 효아(鑄洞孝兒)'라는 칭송을 받았다.
  • 박세도: 습독공파(習讀公派) 파조.
  • 박세희: 문강공파(文剛公派) 파조. 기묘사화에 연루되어 강계에서 유배 생활 중 사망했다.
  • 박세후: 인재공파(認齋公派) 파조.
  • 박윤창: 직제학공파(直提學公派) 파조.
  • 박문창: 서흥파(瑞興派) 파조.
  • 박안예: 판서공파(判書公派) 파조.
  • 박증손: 운곡공파(雲谷公派) 파조. 조광조 등이 화를 입자 순천 운곡촌으로 이주하여 입향조가 되었다.
  • 박대붕: 남포공파(南浦公派) 파조. 임진왜란 당시 의병을 일으켜 금산 전투에서 전사하였다.
  • 박안지: 판서공파(判書公派) 파조.
  • 박안신: 정숙공파(貞肅公派) 파조. 조선 사관, 사간, 참판, 대사헌, 관찰사 등을 역임했다. 왜구 방어를 위한 병선 제조의 중요성을 강조했다.
  • 박이창: 판서공파(判書公派) 파조. 평안감사를 역임. 국법을 어긴 것에 대한 책임을 지고 자결하였다.
  • 박이녕(혹은 박이령): 판서공파(判書公派) 파조. 계유정난 때 김종서의 무리로 몰려 교살되었다.
  • 박사정: 생원공파(生員公派) 파조.
  • 박사춘: 부사공파(府使公派) 파조.
  • 박사선: 감찰공파(監察公派) 파조.
  • 박문유: 판원사공파(判院事公派) 파조.
  • 박려(朴侶): 찬성공파(贊成公派) 파조.
  • 박지헌(朴之軒): 장령공파(掌令公派), 율촌공파(栗村公派), 판윤공파(判尹公派), 주부공파(主簿公派), 금서재공파(琴書齋公派), 필재공파(蓽齋公派) 파조.
  • 박지영(朴之永): 평택 박씨로 분관.
  • 박영: 충주 박씨로 분관.
  • 박양유(朴良柔): 고려 성종 때 시중을 지냈다. 거란의 침입을 막는 데 공을 세웠다.
  • 박유명(朴惟明): 인조반정에 참여하여 정사공신 3등에 책록되고 상원군(商原君)에 봉해졌다.

6. 집성촌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